이혜선



작가소개

이혜선 작가는 2016년 제주 바다에서 비치코밍한 플라스틱 쓰레기를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게 된 계기로, 바다에서 밀려온 폐기물에 주목하게 되었다. 작가는 바다에 떠밀려온 부표, 낚시찌, 그물과 같은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들을 수집해 작업의 재료로 삼았고, 이러한 재료들은 새로운 형태와 기능을 부여 받으며, 다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게 되었다. 쓸모를 잃고 버려진 것들이 다시 사용되고, 소외된 사물이 다른 관계 안에서 의미를 회복하는 과정은 작가가 지속적으로 지향해온 작업 방식이다. 쓰레기라는 이름으로 제거된 물질들을 다시 사회적, 미적 맥락 안으로 끌어들이며, 이들을 통해 우리가 소비하고 폐기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작가는 작업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폐기된 물건의 흔적을 감추지 않고 오히려 드러내며, 그것이 지나온 시간과 장소를 존중한다. 이 흔적들은 작품 속에서 하나의 조형 언어가 되어, 관람자는 그 안에서 다시 쓰임의 가능성과 가치의 변화를 발견하게 된다. 그 흔적들은 하나의 조형 언어로 작품 속에 스며들고, 관객은 그 안에서 ‘다시 쓰임’ 의 가능성과 가치의 전환을 읽어낼 수 있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작가만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응답일 뿐 아니라, 사물과 사람, 의미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다시 사유하게 만드는 동시대적 제안이다. 작가는 예술을 통해 버려진 것들의 의미를 확장하고, 조형적으로 풀어내 소비되어진 사물의 존재가 다시 순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우리가 버린 것들이, 누군가에게는 반짝이는 길잡이가 될 수 있다”는 이혜선의 메시지는 해양 오염의 심각성을 일깨우면서도, 작은 쓰레기 하나에도 새로운 필요와 아름다움이 숨어 있음을 이야기한다. 작가의 작품에는 쓸모를 잃은 것들의 부활과, 우리가 간과해온 바다 생태계의 위기가 함께 담겨 있다. 이혜선 작가는 자신의 작업을 통해 관람객이 바다 쓰레기를 단순한 오염원이 아닌, 생명의 흔적이자 새로운 가능성으로 바라보길 바란다. 이혜선 작가의 작업은 예술을 통한 환경선순환을 제시하며, 우리에게 “나도 일상에서 작은 업사이클링을 실천해볼까?”라는 긍정의 참여를 유도한다.



바다에서 온 것들이 다시 쓰이기까지

Remains of the Sea, Reimagined
바닷가에서 수집한 각종 플라스틱 쓰레기, 금속, LED
가변설치_2025



작품소개

작가의 작업은 바다에서 시작한다. 파도에 밀려 해변으로 떠내려온 부표와 낚시찌, 그리고 무수히 작은 플라스틱 파편들. 이 물건들은 과거에는 분명한 쓰임과 목적이 있었지만, 지금은 바다 위를 떠돌며 잊혀진 존재가 되어 해변으로 떠밀려왔다. 작가는 이 잊혀진 것들에 주목한다. 직접 해변으로 나가, 시간이 만들어낸 빛 바램과 풍화의 흔적이 깊게 배인 플라스틱 쓰레기들을 수집한다. 수집한 각 조각은 저마다의 시간을 품고 있다. 그 시간의 흔적들은 그 자체로 바다와 햇빛, 시간의 기록이 되었다. 이렇게 수집된 플라스틱들은 작가의 손에 의해 다듬어지고, 빛을 입히는 과정을 통해 바다위에 선박들을 비춰주는 등대처럼 저마다의 이야기를 담은 하나뿐인 조명 오브제로 탈바꿈되었다. 이 과정은 단순한 재활용을 넘어 작은 순환이며, 버려지고 잊혀진 것들에게 다시 쓰임과 의미를 부여하는 ‘조용한 실천’이다.

이 공간은 그러한 과정이 담긴 작가의 책상이자 작업실이다. 바다에서 해변으로, 그리고 작업실로 이어진 여정을 따라 옮겨온 플라스틱 조각들이 다시 의미를 획득하고, 새로운 쓰임의 가능성을 탐색해 가는 과정을 관람자와 함께 나누고자 한다.




CV

개인전
2022. 11 PING-PONG! / 코오롱-솟솟리버스 / 제주
2022. 11 Plastic Collective / 칠성조선소 / 속초
2022. 03 Lighting in various Forms - Worthwhile Things / 사계생활 사계금고 / 제주
2021. 07 형광조각 – 다양한 형태를 가진 조명, 조각 / 조명박물관 / 양주
2018. 06 바다, 수집, 빛 / 갤러리아원 / 서울

그룹전
2024. 12 ‘말앞에 마차’ 그룹전시 참여 / 서울숲 빼옹쇼룸 / 서울
2024. 06 시스터후드 기획 ‘The Closing Circle’ 그룹전 참여 / 한솥아트스페이스 / 서울
2023. 11 윤현상재 유통기한프로젝트EXP:8Seasons 시즌2 전시 참여 / 윤현상재 머티리얼라이브러리 / 서울
2023. 04 2023밀라노디자인위크 래코드 Re;Collective Milan 전시 참여 / 밀라노 드롭시티 / 밀라노
2022. 12 2022공예트랜드페어 주제관 참여 / 코엑스 / 서울
2022. 08 시스터후드 기획 ‘Dear. my Earth’ 그룹전 / 롯데백화점 엘리먼트갤러리 / 동탄
2022. 07 KCDF 공모전시 선정 크로노오브젝트그룹 2번째 정기전시 / KCDF / 서울
2022. 05 공예주간 컨트리뷰터스기획 Repair : Re+pair 참여 / 아모레성수 / 서울
2022. 04 현대차 정몽구재단 온드림소사이어티 개관전시 / 페이지명동 - 온드림소사이어티 / 서울
2021. 09 2021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공생의도구” Part 2. 초대작가 / 문화제조창 / 청주
2021. 05 사월말오월초 아원기획선물전 / 갤러리아원 / 서울
2020. 11 아원기획전 '견물냥심' 반려동물용품전시 / 갤러리아원 / 서울
2020. 11 크로노오브젝트그룹 1번째 정기전시 'CHRONO-OBJECT' / 갤러리아원 / 서울
2020. 10 창작자의 수집법 / 서울시립미술관(SEMA창고) / 서울
2020. 09 묘합 첫번째 정기전시 '소사로운' / 크라프트온더힐 / 서울
2020. 08 사월말오월초 아원기획선물전 / 크라프트아원 / 서울
2019. 12 홈테이블데코페어 UP & COMING DESIGNERS 초대부스 / 코엑스 / 서울
2019. 04 사월말오월초 아원기획선물전 / 크라프트아원 / 서울
2019. 03 BKV Prize / Internationale Handwerksmesse · Galerie Fur Angewandte Kunst / 뮌헨 / 독일
2018. 12 공예트렌드페어 창작공방관 개인부스 / 코엑스 / 서울
2018. 11 눈 길,꾸밈 아트모빌 전시 / 갤러리아원 / 서울
2018. 10 시선의 움직임 아트모빌 전시 / 아우룸 / 서울
2018. 10 시선의 움직임 아트모빌 전시 / 아우룸 / 서울
2018. 06 식물도구전 / 갤러리아원 / 서울
2017. 06 쓰레기x사용설명서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국립민속박물관 / 서울
2017. 04 제주바다로부터 바다쓰레기 금속공예 전시 / KCDF갤러리 / 서울
2017. 01 CheckMate! 제2회 아트체스 전시 / KCDF갤러리 / 서울
2016. 12 제주바다로부터 바다쓰레기 금속공예 전시 / 재주도좋아 / 제주

주요 수상
2022 20th Silver Triennial 2022. Youth promotion contest 1st Prize Winner / 하나우 / 독일
2019 BKV Prize 2019. The 2st Prize Winner / 뮌헨 / 독일

주요 작품 소장처
2020 서울공예박물관 등





작가 인스타그램 바로가기